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비교분석하기

경제 재테크 EVERYTHING

by JJONG22 2023. 6. 23. 11:14

본문

반응형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무엇이 다를까?

 

 

지난 포스팅에서 청년 도약 계좌개설 방법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2023년 정부 지원 사업에는 청년 도약 계좌가 있다면

2022년에는 청년희망적금이 있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이 확대 개편되어 청년 도약 계좌로 출시되는 형태입니다.

 

 

둘 모두 정부 지원 사업이기 때문에

중복 가입은 어렵습니다.

따라서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 도약 계좌로 

갈아 타고싶으신 분들이 있으실텐데

청년희망적금을 유지와 청년 도약 계좌로 갈아타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이득이 될지 알아봅시다.

청년 도약 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을 비교

두 상품 모두 청년들의 목돈 마련이라는 취지는 같습니다 하지만

기본 조건 등이 다르기 때문에 비교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단순히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을 비교해 보기 위해

같은 조건에서 청년희망적금과 청년 도약 계좌를 비교해 보도록 합시다.

청년희망적금

*******납입금액 월 50만 원, 금리 6%에서 2년 동안 납부가정*******

 

매월 50만 원씩 2년 동안 납입하였을 때의 원금과

비과세이므로 은행 금리가 6%였을 때의 세전 이자를 더하고

정부 지원금(1년 차 : 납입액의 2%)(2년 차 : 납입액의 4%)

을 계산하여 더해주면

1,200만 원 + 75만 원 + 36만 원 = 1,311만 원이 나옵니다.

즉 청년희망적금으로 은행 금리가 6%일 때,

매월 50만 원씩 2년간 납입하면 총 1,311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납입금액 월 50만 원, 금리 6%에서 2년 동안 납부가정*******

 

매월 50만 원씩 2년 동안 납입하고, 매달 정부 지원금이 붙은 금액과

비과세이므로 은행 금리가 6%였을 때의 세전 이자를 더해주면

1,272만 원 + 795,000원 = 1,351만 5천 ‬원이 나옵니다.

즉 청년 도약 계좌로 은행 금리가 6%일 때,

매월 50만 원씩 납입하면 2년 차에 총 1,351만 5천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바로 받는 것이 아니고,

이후에 5년까지 만기를 채운다는 가정 하에 계산입니다.

 

이렇게만 비교해 보면

청년 도약 계좌가 405,000원 더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더 좋아보일수 있으나,

어디까지나 중도해지를 하지 않고 5년이라는 만기를 전부 채웠을 경우에 해당합니다.

 

중도해지할 경우 감면세액이 추징되는 등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출시 후 폭발적인 가입률을 보였지만

가입 후 5개월 사이에 30만 명이 넘는 숫자가 중도 해지했습니다.

만기가 5년으로 청년희망적금의 2.5배인 만큼 안정적인 수입이 없는 청년들의

청년 도약 계좌 중도해지 확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청년희망적금과 청년 도약 계좌를 비교하실 때

이를 고려하여 결정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