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대한항공 마일리지 개편. 어떻게 바뀔까?

경제 재테크 EVERYTHING

by JJONG22 2023. 2. 21. 09:28

본문

반응형

대한항공 마일리지
새로운 개편안에 대해
알아볼까요?
.
.
.

실내 마스크 착용이 의무에서 권고로 바뀌면서
많은 분들이 해외여행 준비를 많이 하시는 거 같네요.
국외여행을 준비하는 분들은
마일리지에 관심 많으실 것 같습니다.


단거리는 저가항공을 장거리는
큰 항공사를 보통 타곤 하는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항공사 중 하나인
대한항공 마일리지 개편은
많은 분들이 관심 가질만한 아이템이라 생각됩니다~~



대한항공 마일리지 개편이
20년 만에 진행된다고 하네요.
기존에 일부 장거리 노선의 마일리지 혜택 축소 등으로 많은 고객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던
대한항공 마일리지 개편이 4월 중에
검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럼 어떻게 바뀌는 걸까요?



4월부터 마일리지 공제 기준을 운항거리로 구분하는데
장거리를 여행하는 고객들은
더 많은 마일리지가 필요하게 됩니다.

기존에 마일리지를 이용해 항공권을 구매하면
국내선 1개, 국제선 4개 지역으로 기준을 잡았습니다.
하지만 변경되는 대한항공 마일리지
개편안은 공제 기준으로
국내선 1개, 국제선 10개로 차등하게 마일리지가 제공되도록 변경한다고 합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대한항공 마일리지
개편 사항을 설명드릴게요!

변경 전 마일리지 적립은 동남아 지역, 미주 지역처럼 공제 기준을 지역별로 나눴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비행 거리를 기준으로
마일리지 적립을 나눈다는 것입니다.


예를들면
이전에는 이코노미석 기준으로 3만 5,000 마일리지로 갈 수 있었던 인천->뉴욕행을

올해 4월부터는 이코노미 기준, 4만 5,000 마일리지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대신 상대적으로 거리가 짧았던 인천->후쿠오카행은 3만 마일리지에서 2만 마일리지로 변경되었습니다.

대신..비성수기 이코노미석 기준입니다!


그렇다면 갑자기 대한항공 마일리지 개편은
왜 진행되었을까요??
사실 이번이 처음은 아닌데 3년 전부터
개편안에 대해 말들이 많았습니다.


대한항공 입장부터 알아볼게요!
1) 대한항공 마일리지 개편안이 고객에게 더 합리적이다.
실제로 대한항공 마일리지를 사용하는 76%의 고객들은
국내 혹은 비교적 가까운 거리의 국외 여행 장소를 선택한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여행거리가 짧을수록 마일리지 차감 약도 줄어드니 더 합리적인 개편안이라는 주장입니다.

2) 국외 항공사와 마일리지 차감액 기준을 비슷한 수준으로 맞춘 것이다.

대한항공의 입장에서 들어보면 해외 주요 항공사와 비교해 봤을 때 대한항공의 기준이 현저히 낮다는 것입니다.

정부와 국민들의 의견도 알아볼까요?

1) 독점에 대한 문제 제기

보통 비행거리가 짧은 노선에는
저가항공과 대한항공이 경쟁하고,

장거리 노선은 대한항공을 선택하는
확률이 많다고 합니다.

그런데 단거리 노선에서도 현재의 개편안으로 변경되면 장거리 노선, 단거리 노선에서도

대한항공이 독점이 아닌가?
라는 평가를 받기도 합니다.


2) 일방적으로 혜택을 줄였다.

일부 고객들은 단거리 여행은
원래부터 저가항공을 이용하려고 했고,

장거리 비행은 마일리지를 사용해
대한항공을 이용하려 했다는 입장이죠 대부분

그리고 그동안 장거리로 여행을 가고 싶어도
비성수기, 이코노미석 한정이라는 제한 때문에

좌석을 예약하기 하늘의 별따기입니다.
결론은 일방적으로 혜택을 줄인 것뿐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3) 국민의 세금을 기억해라

정부의 입장중 가장 강력한 멘트이죠..
코로나19 때 국민의 세금으로 지원금을 받은 만큼 고객이 반대하는 개편을 굳이 진행할 이유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대한항공 마일리지 개편은 대한항공을 제외한
국민과 정부가 모두 부정적인 의견을 표출하고 있답니다.

이러한 부정적인 반응에 대한항공은 보너스 좌석을 기존보다 약 2배 늘리기로 결정했고,

올 4월에 추진하려 했던 마일리지 개편안은 기존의 틀과 전혀 다른 개편안으로 변경하거나
무산될 확률도 높다 합니다.

개인적으로 저도 반대표에 동의합니다.

평소에 대한항공을 자주 이용했던 분들이라면 변화되는 마일리지 개편안에
좀더 관심을 가져야 할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