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이 하락세에 접어들었습니다.
그래서 요즘 정부에서는 부동산 완화 정책들을 많이 펼치고 있습니다.
대출받을떄나, 집 전세 매매 계약할때,
꼭 알아야 할 기초용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까요?
건폐율은 건축의 밀도를 나타내며,
대지면적 대비 건물이 차지하는 면적이 얼마인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같은 대지면적이라도 허용된 건폐율이 높으면 더 넓은 건물을 지을수 있습니다.
-용적률
용적률은 건물을 얼마나 높게 지을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용적률은 대지면적 대비 건축물의 연면적 비율을 계산
건폐율에 건물 층수를 곱하면 됩니다.
용적률이 중요한 이유
도시의 교통, 일조권 , 환경등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
용적률을 제한두기 때문에 땅을 소유하더라도
무작정 건물을 높게 지을수 없다 라는 뜻입니다.
통상적으로 용적률이 낮을수록 재건축 사업이 수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층 아파트가 재건축을 많이 하곤 합니다.
LTV란 주택담보대출비율을 뜻하며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릴 때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예를 들어보면 1억짜리 집을 살 때 LTV가 50%라는 건 최대 5천만 원을 빌릴 수 있다를 뜻합니다
DTI란 연간소득에서 부채(원금, 원리금)가 차지하는 비율을 뜻합니다
DTI에서 부채는 주택 대출의 부채를 뜻하며 DTI는 주택구입 시 상환능력을 측정합니다
한마디로 나의 연간소득이 1억인데 DTI가 50%라는 건 5천만 원의 부채(주택)가 있다는 걸 뜻합니다
DSR이란 연간소득에서 총부채가 차지하는 비율을 뜻합니다
DTI가 주택 대출을 뜻한다면 DSR은 채무자의 모든 금융 부채를 뜻합니다
따라서 조금 더 DTI보다조금 포괄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연간소득이 1억이면서 DSR이 50%라는 건
5천만 원의 부채가 있다는 걸 뜻합니다
이와 같이 오늘은 부동산 기초 용어에 대하여 포스팅해보았는데요.
오늘 내용은 극히 기초용어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꼭 알고 있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유익한 내용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국내온천여행 추천 BEST 5 (0) | 2023.03.17 |
---|---|
문화상품권 네이버페이로 전환하는 방법 (0) | 2023.03.10 |
대한항공 마일리지 개편. 어떻게 바뀔까? (0) | 2023.02.21 |
구글애드센스 승인완료 후 절때 하지말아야 하는 행동!! (0) | 2023.02.16 |
은행,증권 계좌 개설 20일 제한 풀리는 날짜 확인 방법(Ft.카카오톡) (0) | 2023.02.13 |
댓글 영역